본병원비수술적 치료를 지향하며
끊임없이 연구 · 개발해 나갈 것입니다.

연골재생센터

홈본의료 > 관절질환 > 연골재생센터

연골재생이란?

(무릎)연골은 한 번 손상되면 스스로 치유될 수 없어 방치하면 지속적인 통증에 노출됩니다. 젊을수록 연골 재생 능력이 좋고, 치료 효과는 55세 이전에 해야 충분히 볼 수 있습니다. 손상된 연골을 복구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손상된 연골의 크기 및 부위와 나이를 고려하는 것이 기본입니다.

손상된 연골 수술 대상
  • 1. 회복이 어려울 정도로 파열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
  • 2. 연골판 절재술 후에 관절염이 진행된 경우
  • 3. 연골판 절제술 6개월 후 통증이 있고, 정기검진을 통해 관절전문의의 소견이 있을 경우
  • 4. X-ray상 퇴행성 변화가 있을 경우
  • 5. 반월상연골판 손상을 입은 20~30대 젊은층이 연골판 이식술을 받을 경우 더욱 효과적임
손상된 연골 치료
손상된 연골의 대표적인 치료방법을 소개합니다.
1미세천공술

미세천공술이란 관절내시경으로 연골이 닳아 없어진 부위에 3~4mm 구멍을 고른 간격으로 뚫은 뒤 손상된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골수세포로 결손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입니다. 수술 뒤 통증이 적어 3개월 정도가 지나면 자연스럽게 걸을 수 있고, 연부조직 손상도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
미세천공술

미세천공술

2자가골연골이식술

손상된 연골 크기가 4cm를 넘지 않아야 시술할 수 있는 자가 골 연골 이식술은 체중 부하 없는 부위의 연골 세포를 떼어내 손상된 연골 부위에 이식하는 수술입니다. 자신의 연골을 이식하므로 부작용이 없고, 한 번에 끝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수술 뒤 6~12주가 지나면 정상적으로 걸을 수 있고 9개월 정도가 지나면 조깅도 할 수 있습니다.

3자가연골세포배양이식술

자가 연골 세포배양 이식술은 손상 되지 않은 건강한 연골세포를 채취해 한 달 동안 배양시킨 뒤, 손상된 부위에 배양된 연골세포를 이식하는 방법입니다. 관절 연골세포는 몸 안에선 세포증식을 할 수 없지만, 배양조건을 잘 맞춘다면 몸 밖에서 연골세포 분화 및 증식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. 배양된 연골세포 이식 후 6~12주 정도가 지나면 정상 관절 연골로 완전히 돌아옵니다.

자가골연골이식술

자가연골세포배양이식술 1

자가연골세포배양이식술 2

자가연골세포배양이식술 3

자가연골세포배양이식술 4

4연골판이식술

많이 손상된 반월상 연골판을 제거하면 나이가 젊은 환자도 퇴행성 관절염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연골판 이식술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심할 때 관절내시경으로 수술 부위 상태를 보며 새로운 연골판을 이식하는 이 방법은 연골판을 50% 이상 잘라낸 환자에게 타인의 연골판을 이식하는 치료법입니다. 정상 연골판을 이식하기 때문에 인공관절 수술을 하지 않아도 되고, 금속물 삽입 부작용도 없어 안심할 수 있습니다. 입원기간은 일주일, 4주 정도가 지나면 걸을 수 있게 되며, 2~3개월 후에는 예전과 같은 생활을 할 수 있게 됩니다.

연골판이식술 1

연골판이식술 2

연골판이식술 3

연골판이식술 4